신앙생활/사순 판공 찰고 문제 20

사순 제3주간. 사순판공찰고 10

6. 사순 제3주일 복음 '성전을 정화하시다'에서 '사흘 안에(요한 2,19)'가 의미하는 것은? ① 예수님의 부활 ② 예수님의 승천 ③ 성령강림 ④ 예수님의 공생활 **해설: 성전 정화 사건은 예수님과 유다 지도자들 사이에 갈등이 시작된 사건입니다. 여기에서 말씀하시는 사흘은 예수님의 부활을 의미합니다. 7. 한국 천주교회사의 첫 번째 옥중 서간은? ① 강완숙 골롬바의 옥중서간 ② 정하상 바오로의 옥중서간 ③ 이순이 루갈다의 옥중 서간 ④ 유중철 요한의 옥중 서간 **해설 : 이순이 루갈다는 유중철 요한과 동정부부로 순교복자입니다. 1801년 신유박해때 체포되어 옥에 있을 때 주문모 신부의 권유로 박해의 자세한 사항을 적기도하고, 친정 어머니에게 옥중편지를 보냈는데 이것이 최초의 옥중 서간이며 이 서간..

사순 제3주간. 사순판공찰고 9

1. 신약 성경에는 예수님의 제자들이 지역 교회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들인 서간으로 바오로 서간 14개와 가톨릭 서간 7개로 모두 21권이 있다. 다음 중 가톨릭 서간이 아닌 것은? ① 1요한 ② 야고보 ③ 1코린 ④ 1베드로 **해설 : '서간'이란 안부나 소식, 볼 일 등을 적어 다른 사람에게 보내는 글 입니다. 가톨릭 서간은 야고보의 서간, 베드로의 서간 두 권, 요한의 서간 세 권, 유다의 서간으로 총 7권입니다. 가톨릭서간은 '보편서간'이라고도 합니다. 2. 김대건 신부의 친필 서간이 있는 곳은? ① 솔뫼성지 ② 절두산 순교 기념관 ③ 은이성지 박물관 ④ 미리내 성지 **해설 : 한국천주교회의 국보급 문화재인 김대건 신부의 친필 서간은 서울 합정동 절두산 순교 기념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3. 김..

사순 제2주간. 사순판공찰고 8

16. 코로나19 사태가 급속히 번지는 등으로 인해 미사 참여가 불가능할 때 권장되는 것은? ① 성사적 영성체 ② 봉성체 ③ 신령성체 ④ 대송 **해설 : 영적 영성체(신령성체)는 마음을 모아 주님과 하나 되어 성체를 모시려는 뜻이 있으면 언제 어느 곳이든 가능하여, 코로나19의 확산 등으로 인터넷ㆍ텔레비전으로 미사를 볼 때 특별히 권장 되었습니다. 17. '공경할 만한 사람' 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말로 '영웅적 성덕'이 인정된 하느님의 종에게 붙이는 존칭은? ① 증거자 ② 가경자 ③ 복자 ④ 성인 **해설 : '가경자'는 '영웅적 성덕'이 인정된 하느님의 종에게 붙이는 존칭으로 공적 경배는 할 수 없지만 개인적인 기도는 가능합니다. 18. 한국천주교회의 주보 성인은 누구인가요? ① 원죄없이 잉태되신 성..

사순 제2주간. 사순판공찰고 7

11. 사순 제2주일 복음인 예수님의 거룩한 변모와 관련 없는 것은? ① 예수님의 신성을 드러내는 사건이다. ② 파스카의 신비가 암시되어 있다. ③ 예수님의 부활 후의 영광스런 모습을 미리 보여주신다. ④ 주님의 거룩한 변모 축일은 9월 6일이다. **해설 : 주님의 거룩한 변모 축일은 8월 6일입니다. 12. 한국 천주교회가 시작된 시기는? ① 1782년 ② 1784년 ③ 1786년 ④ 1788년 **해설 : 18세기 후반경 권철신, 정약전, 이벽 등에 의해 천주교 신앙이 싹트기 시작하였고, 1784년 북경에서 영세받고 돌아온 이승훈(베드로)과 이벽, 정약전 등이 신앙의 공동체를 형성한 것을 한국 천주교의 창립으로 봅니다. 13. '사추덕'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인내 ② 정의 ③ 용기 ④ 절제 **..

사순 제2주간. 사순판공찰고 6

6. 최양업 신부님이 번역하거나 직접 쓴 것이 아닌 것은? ① 천주가사 ② 성교요리문답 ③ 천주성교공과 ④ 한국천주교회사 *해설 : '한국천주교회사'는 파리 외방전교회의 달레 신부가1874년에 한국 천주교회의 성립 기원 및 순교사를 수록하여 2권으로 간행한 책입니다. 7. 김대건 신부의 순교 당시의 상황이 아닌 것은? ① 최양업 신부가 사제서품을 받고 바로 귀국하였다. ② 조선교회는 김대건 신부의 순교로 암울한 시기였다. ③ 페레올 주교와 다블뤼 신부가 공주 수리치골로 피신하였다. ④ 조선의 천주교에 대한 감시가 더욱 심해졌다. **해설 : 김대건 신부 순교 당시 최양업 부제는 중국의 소팔가자와 용화산에 있었고, 1849년 상해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고 그해 12월 3일에 귀국하였습니다. 8. 최양업 신부..

사순 제2주간. 사순판공찰고 5

*** 오늘 문제는 앞의 글 [대건에서 양업으로]를 참조하시면 쉽게 푸실 수 있습니다. 1. 최양업 신부의 탄생지는? ① 부여 홍산리 ② 청양 다락골 ③ 골배마실 ④ 안양 수리산 2. 최양업 신부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모방 신부에 의해 신학생으로 선발되었다. ② 11년 6개월간 박해 위험을 무릅쓰고 교우촌을 순방하였다. ③ 기해박해 때 체포되어 순교한 피의 순교자이다. ④ 한국의 바오로 사도라 불리운다. 3. 최양업 신부가 사제 서품을 받은 곳은? ① 차쿠 ② 상해 김가항 성당 ③ 소팔가자 ④ 상해 장가루 성당 4. 최양업 신부가 지은 천주가사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사심판가 ② 공심판가 ③ 천주공경가 ④ 사향가 5. 한국 천주교 최초의 교리서는? ① 성교요리문답 ② 천주성교공과 ③ ..

사순 제1주간. 사순판공찰고 4

16. 십자가의 길에 나오지 않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① 성모마리아 ② 키레네 사람 시몬 ③ 베로니카 ④ 베드로 **해설 : 제4처 예수님께서 성모님을 만나심을 묵상합시다. 제5처 시몬이 예수님을 도와 십자가 짐을 묵상합시다. 제6처 베로니카, 수건으로 예수님의 얼굴을 닦아드림을 묵상합시다. 17. 한국천주교회의 첫 번째 신학생으로 두 번째 사제이며 첫 번째 북방 선교사는 누구인가요? ① 김대건 ② 최양업 ③ 최방제 ④ 이승훈 **해설 : 경기도 부평에 살던 15세 소년 최양업은 1836년 2월 6일에 모방 신부로부터 최초의 신학생으로 선발 되었고, 1849년 4월 15일 에 상해에서 한국 천주교회의 두 번째 사제로 서품 받았습니다. 18. 김대건 신부님과 최양업 신부님의 공통점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요?..

사순 제1주간. 사순판공찰고 3

11. 십자가의 길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십자가의 길 이라는 용어는 중세이후부터 사용되었다. ②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이 일어난 장소를 행렬하던 초기 신자들의 전통에서 비롯되었다. ③ 각 처를 만들어 기도하기 시작한 것은 12세기경부터이다. ④ 십자가의 길은 14처로만 이루어져 있다. **해설 : 19세기에 전세계로 퍼진 십자가의 길 기도는 대부분이 14처로 이뤄져 있지만, 현재는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이 부활로 이어짐을 강조하는 의미로 예수님의 부활을 상징하여 15처를 사용하는 곳도 있습니다. 12. 십자가의 길 기도에서 제1처의 내용은 무엇인가요? ① 예수님께서 대사제들이 보낸 사람들에게 체포되셨다. ② 예수님께서 겟세마니 동산에서 피땀 흘리시며 기도하셨다. ③ 예수님께서 사형 선고를 ..

사순 제1주간. 사순판공찰고 2

6. 한국천주교회 초창기부터 신앙선조들이 전례시기를 지킬 수 있도록 지침이 된 표로 주요 축일 등의 전례시기를 월, 일로 구분해 기록한 표는 무엇일까요? ① 전례표 ② 첨례표 ③ 기도표 ④ 판공표 ** 해설 : 첨례는 축일을 뜻하는 용어이며, 교회의 주요 축일 등을 월, 일로 구분해 기록한 표입니다. 권일신의 집에서 라는 서적이 발견되어 당시의 보급 상황을 알게 되었습니다. 7. 우리 신앙선조들이 기도하던 십자가의 길을 나타내는 말은? ① 성로공가 ② 성로선업 ③ 성로선공 ④ 성로신공 ** 해설 : 십자가의 길을 신앙선조들은 '성로선공' 으로 부르며 열심히 바쳤다고 합니다. 8. 한국천주교회 선조들의 사순시기를 지낸 모습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재의 수요일을 '거룩한 재의 예식'이라 불렀다. ② 재의..

사순 제1주간. 사순판공찰고 1

※ 오늘부터 성주간까지 매주 사순 판공찰고 문제를 올립니다. 진행과정에서 점차 최양업신부님과 관련된 내용을 비롯하여 전반적인 한국천주교회사도 다룰 예정이니 관심가져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 '파스카 사건'을 준비하는 기간으로 가톨릭 전례의 중심이며 절정인 기간은 언제 인가요? ① 대림시기 ② 사순시기 ③ 부활시기 ④ 연중시기 ** 해설 : 예수님의 구원 신비를 되새기는 전례주년의 중심이며 절정인 '파스카 사건', 곧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 축제를 준비하는 기간 2. 사순 기간은 언제부터 시작되나요? ① 재의 수요일부터 ② 사순 제1주일부터 ③ 주님 수난 성지 주일부터 ④ 성 목요일부터 ** 해설 : 사순절은 재의 수요일인 사순 제1주일 전 수요일부터 시작됩니다. 재의 수요일은 교황 성 그레고리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