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최양업 신부님이 번역하거나 직접 쓴 것이 아닌 것은?
① 천주가사 ② 성교요리문답
③ 천주성교공과 ④ 한국천주교회사
*해설 : '한국천주교회사'는 파리 외방전교회의 달레 신부가1874년에 한국 천주교회의 성립 기원 및 순교사를 수록하여 2권으로 간행한 책입니다.
7. 김대건 신부의 순교 당시의 상황이 아닌 것은?
① 최양업 신부가 사제서품을 받고 바로 귀국하였다.
② 조선교회는 김대건 신부의 순교로 암울한 시기였다.
③ 페레올 주교와 다블뤼 신부가 공주 수리치골로 피신하였다.
④ 조선의 천주교에 대한 감시가 더욱 심해졌다.
**해설 : 김대건 신부 순교 당시 최양업 부제는 중국의 소팔가자와 용화산에 있었고, 1849년 상해에서 사제 서품을 받았고 그해 12월 3일에 귀국하였습니다.
8. 최양업 신부가 부제 서품 이후사제 서품을 받기 전까지의 상황이 아닌 것은?
① 병오박해로 김대건 신부가 순교했다는 소식에 큰 충격을 받았다.
② 페레올 주교가 보낸 순교자 행적을 라틴어로 번역하였다.
③ 조선 입국을 여러차례 시도하였으나 모두 실패하였다.
④ 조선 입국 실패로 차쿠에서 활동하였다.
** 해설: 사제서품 전에는 여러차례 조선입국 실패 후 홍콩의 극동대표부로 갔습니다.
9. 최양업 신부의 사제 서품과 관련이 적은 것은?
① 1849년 4월 15일 강남대목구장 마레스카 주교에게 사제 서품을 받았다.
② 조선에서의 박해 위험이 줄어들어 사제 서품 후 바로 입국하였다.
③ 중국 요동지방의 차쿠에서 베르뇌 신부와 사목 활동을 시작하였다.
④ 여러차례 입국을 시도하다가 1849년 12월에 13년만에 귀국하였다.
**해설 : 1849년 5월 매스트르 신부와 서해 뱃길로 다섯 번째 입국을 시도하다 실패한 후 차쿠에서 사목활동을 하고 1849년 12월에 귀국하였습니다.
10. 조선에 입국한 최양업 신부의 활동이 아닌 것은?
① 한양에서 다블뤼 신부에게 병자성사를 집전하며 성무를 시작하였다.
② 서울과 인근 지역을 제외한 충청, 전라, 경상, 강원, 경기 일부의 사목을 위임 받았다.
③ 장마철에는 수리치골에 머물며 교리서와 기도서를 번역하였다.
④ 조국의 복음화에 대한 사명감을 가지고 선교활동에 큰 성과를 거둔다.
** 해설 : 진천의 배티에서 한문 교리서와 기도서를 한글로 번역하였습니다.
'신앙생활 > 사순 판공 찰고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순 제2주간. 사순판공찰고 8 (0) | 2021.03.05 |
---|---|
사순 제2주간. 사순판공찰고 7 (0) | 2021.03.04 |
사순 제2주간. 사순판공찰고 5 (0) | 2021.03.02 |
사순 제1주간. 사순판공찰고 4 (0) | 2021.02.26 |
사순 제1주간. 사순판공찰고 3 (0) | 2021.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