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십자가의 길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십자가의 길 이라는 용어는 중세이후부터 사용되었다.
②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이 일어난 장소를 행렬하던 초기 신자들의 전통에서 비롯되었다.
③ 각 처를 만들어 기도하기 시작한 것은 12세기경부터이다.
④ 십자가의 길은 14처로만 이루어져 있다.
**해설 : 19세기에 전세계로 퍼진 십자가의 길 기도는 대부분이 14처로 이뤄져 있지만, 현재는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이 부활로 이어짐을 강조하는 의미로 예수님의 부활을 상징하여 15처를 사용하는 곳도 있습니다.
12. 십자가의 길 기도에서 제1처의 내용은 무엇인가요?
① 예수님께서 대사제들이 보낸 사람들에게 체포되셨다.
② 예수님께서 겟세마니 동산에서 피땀 흘리시며 기도하셨다.
③ 예수님께서 사형 선고를 받으셨다.
④ 예수님께서 로마 군인들에게 매를 맞으셨다.
**해설 : 십자가의 길은 예수님께서 사형 선고를 받으시고 십자가를 지고 골고타 언덕에 이동하시는 길과 십자가에 달리심과 돌아가심과 무덤에 묻히심을 묵상하면서 예수님과 함께 그 길을 걷는 기도 입니다.
13. 예수님의 공생활동안 그분의 메시지의 중심은 무엇인가요?
① 구약성경 ② 제자들을 모으심
③ 하느님 나라 ④ 종말
**해설 : 하느님 나라의 도래는 구약 성경에서 미리 예언되었으며, 하느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안에서 완전히 계시되었습니다.
14. 예수님께서 선포하신 하느님 나라의 절대적인 전제조건은 무엇인가요?
(정답 2개)
① 화해 ② 믿음 ③ 회개 ④ 사랑
**해설 : 그리스도의 말씀, 행적, 기적들 안에서 하느님 나라는 묘사 되고, 하느님 나라의 전제 조건으로 회개와 믿음을 제시합니다.
15. 사순 제1주일 마르코 복음 1,12-15에 나오는 갈릴래아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예수님께서 하느님 나라를 선포하신 곳으로 유다인들의 성지였다.
② 이스라엘 북부 국경에 위치한 해안도로의 요충지로 전쟁이 자주 일어났다.
③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어서 예로부터 이곳을 탐내는 이방세력들이 많았다.
④ 유다인들에게 이민족들의 갈릴래아, 즉 부정한 곳으로 취급되어 예언자가 나올 수 없다고 천시되었다.
**해설 : 이민족들에게 수많은 수난을 당했던 갈릴래아를 유다인들은 '이민족들의 갈릴래아(마태 4,15)'요, 부정한 갈릴래아에서 예언자가 나올 수 없다며 천시했습니다(요한7,52)
'신앙생활 > 사순 판공 찰고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순 제2주간. 사순판공찰고 6 (0) | 2021.03.03 |
---|---|
사순 제2주간. 사순판공찰고 5 (0) | 2021.03.02 |
사순 제1주간. 사순판공찰고 4 (0) | 2021.02.26 |
사순 제1주간. 사순판공찰고 2 (0) | 2021.02.24 |
사순 제1주간. 사순판공찰고 1 (0) | 2021.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