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생활/사순 판공 찰고 문제

사순 제3주간. 사순판공찰고 9

서산 예천동 성당 2021. 3. 9. 19:11

1.  신약 성경에는 예수님의 제자들이 지역 교회 신자들에게 보낸 편지들인 서간으로 바오로 서간 14개와 가톨릭 서간 7개로 모두 21권이 있다. 다음 중 가톨릭 서간이 아닌 것은?

  ① 1요한    ② 야고보    ③ 1코린    ④ 1베드로

 

**해설 : '서간'이란 안부나 소식, 볼 일 등을 적어 다른 사람에게 보내는 글 입니다.

가톨릭 서간은 야고보의 서간, 베드로의 서간 두 권, 요한의 서간 세 권, 유다의 서간으로 총 7권입니다. 가톨릭서간은 '보편서간'이라고도 합니다.

 

2. 김대건 신부의 친필 서간이 있는 곳은?

  ① 솔뫼성지                ② 절두산 순교 기념관

  ③ 은이성지 박물관     ④ 미리내 성지

 

**해설 : 한국천주교회의 국보급 문화재인 김대건 신부의 친필 서간은 서울 합정동 절두산 순교 기념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3. 김대건 신부의 마지막 서간의 수신인은?

 ① 로마의 교황        ② 다블뤼 주교

 ③ 페레올 주교        ④ 조선의 교우들

 

**해설 : 회유문이란 순교를 앞둔 성직자가 신자들에게 주님의 훈계와 교리를 충실히 따를 것을 부탁하며 이별의 정을 나누는 서간으로 김대건 신부는 조선 교우들에게 마지막 서간인 회유문을 보내 서로 우애를 잊지 말고 도울 것을 당부했습니다. 현재 김대건 신부 회유문과 다블뤼주교 회유문 2편이 남아 있습니다.

 

4. 한국천주교사에서 볼 수 있는 '백서'로 맞는 것은?

  ① 비단에 쓴 서간      

  ② 100편의 서간

  ③ 정부가 백성에게 알리는 글 

  ④ 검은 바탕에 하얀색 글씨로 쓴 글

 

*해설 : 백서(帛書)는 비단에 쓴 서간을 말합니다. 우리나라 신앙 선조들이 교황이나 중국에 있던 선교사들에게 편지를 보낼 때 항상 비단에 썼다고 합니다.

 

5. 조선의 교회 상황과 신유박해의 상세한 전개과정 등을 알리고, 신앙의 자유를 허용하도록 조선정부를 굴복하게 하는 방안을 제시한 서간은?

  ① 이순이 백서          ② 병오년 백서

  ③ 황사영 백서          ④ 신미년 백서

 

**해설 : 황사영 백서는 베이징의 주교에게 보내려다 발각되어, 황사영은 처형되었고 조선 천주교에 대한 정부의 박해는 더욱 가혹해졌습니다.

황사영 백서의 원본은 의금부에서 파기 되기 직전 뮈텔 주교에 의해 입수되어 교황에게 전달되었고, 현재 로마교황청 민속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