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순 제2주간. 사순판공찰고 8
16. 코로나19 사태가 급속히 번지는 등으로 인해 미사 참여가 불가능할 때 권장되는 것은?
① 성사적 영성체 ② 봉성체
③ 신령성체 ④ 대송
**해설 : 영적 영성체(신령성체)는 마음을 모아 주님과 하나 되어 성체를 모시려는 뜻이 있으면 언제 어느 곳이든 가능하여, 코로나19의 확산 등으로 인터넷ㆍ텔레비전으로 미사를 볼 때 특별히 권장 되었습니다.
17. '공경할 만한 사람' 이라는 뜻에서 유래된 말로 '영웅적 성덕'이 인정된 하느님의 종에게 붙이는 존칭은?
① 증거자 ② 가경자 ③ 복자 ④ 성인
**해설 : '가경자'는 '영웅적 성덕'이 인정된 하느님의 종에게 붙이는 존칭으로 공적 경배는 할 수 없지만 개인적인 기도는 가능합니다.
18. 한국천주교회의 주보 성인은 누구인가요?
① 원죄없이 잉태되신 성모님 ② 성 베드로
③ 루르드의 성모님 ④ 성녀 소화 데레사
** 해설 : 1841년 그레고리오 16세 교황은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님'을 '성 요셉'과 함께 조선 교회의 수호자로 선언하였습니다.
19.한국 최초의 신학교가 세워진 곳으로, 최양업 신부의 묘소가 있는 곳은 어디인가요?
① 새남터 ② 골배마실 ③ 미리내 ④ 배론
*해설 : 이곳은 1791년 신해박해를 피해 모인 교우들이 옹기를 구워 생활하던 신앙공동체로 마을 위치가 배 밑창을 닮았다하여 이곳은 배론으로 불렸습니다.
이곳은 황사영백서가 작성된 곳이며, 장주기 요셉의 집에 최초의 신학교인 '성 요셉 신학당'이 세워진 곳입니다
20. 경기도 광주의 천진암에서 권철신, 이벽, 이승훈, 정약종 등으로 구성된 천주교 교리 연구회는?
① 명도회 ② 강학회 ③ 천주회 ④ 신우회
**해설 : 1784년 봄, 이승훈이 영세하고 돌아온 해인 한국 천주교회의 출발 이전인 1779년 천진암 주어사에서 10여명이 모여 강학회를 열어 서학을 종교적 신앙으로 발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합니다. 이벽의 '천주공경가', 정약종의 '십계명가'는 강학회의 결실을 잘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