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순 제1주간. 사순판공찰고 2
6. 한국천주교회 초창기부터 신앙선조들이 전례시기를 지킬 수 있도록 지침이 된 표로 주요 축일 등의 전례시기를 월, 일로 구분해 기록한 표는 무엇일까요?
① 전례표 ② 첨례표 ③ 기도표 ④ 판공표
** 해설 : 첨례는 축일을 뜻하는 용어이며, 교회의 주요 축일 등을 월, 일로 구분해 기록한 표입니다. 권일신의 집에서 <신혜첨례>라는 서적이 발견되어 당시의 보급 상황을 알게 되었습니다.
7. 우리 신앙선조들이 기도하던 십자가의 길을 나타내는 말은?
① 성로공가 ② 성로선업
③ 성로선공 ④ 성로신공
** 해설 : 십자가의 길을 신앙선조들은 '성로선공' 으로 부르며 열심히 바쳤다고 합니다.
8. 한국천주교회 선조들의 사순시기를 지낸 모습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재의 수요일을 '거룩한 재의 예식'이라 불렀다.
② 재의 수요일을 사순시기의 시작으로하여 엄격히 금육과 단식을 지켰다.
③ 박해시기에는 사순시기가 밖으로 드러나는 것이 두려워 전례를 지키지 못했다.
④ 부활에는 알렐루야를 외치고 음식을 나누기도 하였다.
**해설 : 신앙의 선조들은 박해시기에도 재의 수요일을 시작으로 하는 사순시기를 정확히 이해하고 지켰습니다.
9. 예수님의 수난을 기억하고 묵상하며 하는 기도로 교회가 사순시기에 특별히 권하는 기도는 무엇인가요?
① 묵주기도 ② 주모경
③ 십자가의 길 ④ 통회의 기도
** 해설 : 십자가의 길 기도는 예수님께서 사형 선고를 받으신 후 골고타에 이르기까지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의 주요 장면을 묵상하는 기도입니다.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이 일어난 장소를 행렬하던 초세기 신자들의 전통으로 시작되었습니다.
10. '전대사'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25년 주기의 정기 성년 또는 특별 성년 동안 받을 수 있다.
② 고해성사를 통해 용서를 받고 소멸된 죄이기는 하나 그 죄 때문에 아직 남아있는 일시적인 벌을 하느님께서 모두 면제해주는 것이다.
③ 대사는 현재 하루에 두 번까지 받을 수 있다.
④ 연옥 영혼들을 위해 살아 있는 신자들이 대신 보속을 할 수 있다.
**해설 : 대사는 하루에 한 번만 받을 수 있습니다.